ulyukim 님의 블로그

미술 심리 치료를 통해 마음을 들여다보고 치유하는 공간으로, 다양한 이야기와 실습 가이드를 나눕니다.

  • 2025. 3. 20.

    by. ulyukim

    목차

      아이가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을 그려보세요!

      아이들은 종종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경험하지만, 이를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해요. 이때 미술 활동을 활용하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어요. **‘나만의 안전한 공간 만들기’**는 아이가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감정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미술 심리 치료 활동입니다.

      ‘나만의 안전한 공간 만들기’란?

      아이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방법! 나만의 안전한 공간 만들기

      이 활동은 아이가 자신이 가장 편안하다고 느끼는 장소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이에요. 현실에 존재하는 장소일 수도 있고, 상상 속에서 만들어낸 공간일 수도 있어요. 아이는 이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,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      왜 안전한 공간을 그려야 할까요?

      • 아이가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을 시각화하면서 안정감을 얻어요.
      •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요.
      • 부모와 아이 간의 감정적인 소통이 원활해져요.

      ‘나만의 안전한 공간 만들기’ 준비물

      • 크레파스, 색연필, 물감 등 미술 도구
      • 도화지 또는 스케치북
      • 색종이나 잡지(콜라주를 활용할 경우)

      활동 방법

      1. 안전한 공간 떠올리기

      아이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보세요.

      • "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곳이 어디일까?"
      • "그곳은 어떤 모습이고, 어떤 색깔을 가지고 있을까?"
      • "그 공간에서는 어떤 기분이 드니?"

      2. 그림으로 표현하기

      • 아이가 상상한 공간을 자유롭게 그리도록 유도하세요.
      • 색과 형태를 제한하지 말고,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.
      • 잡지에서 이미지를 오려 붙이거나, 색종이를 활용해 콜라주 기법을 사용해도 좋아요.

      3. 그림을 보며 이야기 나누기

      • "이 공간에서는 어떤 기분이 드니?"
      • "누구와 함께 있고 싶어?"
      • "이 공간에서 가장 하고 싶은 일은 뭐야?" 이런 질문을 통해 아이의 감정을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.

      활동의 효과

      • 정서적 안정감 증진: 아이가 안전한 공간을 상상하며 편안함을 느껴요.
      • 자기 표현 능력 향상: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을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.
      • 스트레스 해소: 불안한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안정감을 얻어요.
      • 부모-자녀 소통 강화: 아이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공유하는 기회가 됩니다.

      응용 방법

      • 상상 속 공간 추가하기: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마법의 공간을 상상해보세요.
      • 미니어처 공간 만들기: 그림뿐만 아니라 박스와 종이를 이용해 입체적인 공간을 만들어보세요.
      • 가족의 안전한 공간 공유하기: 부모도 자신이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을 그리고 아이와 비교해보세요.

      마무리하며

      ‘나만의 안전한 공간 만들기’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효과적인 미술 심리 치료 활동이에요. 오늘 아이와 함께 안전한 공간을 그려보고, 그 공간에서 느끼는 감정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세요!

      ✅ 지금 바로 실천해보세요!

      아이에게 "너만의 특별한 안전한 공간을 만들어볼까?"라고 제안하며 함께 시작해보세요.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