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lyukim 님의 블로그

미술 심리 치료를 통해 마음을 들여다보고 치유하는 공간으로, 다양한 이야기와 실습 가이드를 나눕니다.

  • 2025. 3. 21.

    by. ulyukim

    목차

      HTP 검사란? 그림으로 보는 무의식의 언어

      HTP(House-Tree-Person) 검사는 개인의 무의식적 자아 상태와 대인관계, 정서 상태를 그림을 통해 투사하는 대표적인 미술심리검사입니다. 1948년 미국 심리학자 존 벅(John Buck)에 의해 개발된 이 방법은 지금까지도 전 세계 심리상담, 교육, 임상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요.

      왜 집, 나무, 사람일까요? 이 세 가지 요소는 우리 삶과 밀접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:

      • 집(House): 자아, 가족, 안전감
      • 나무(Tree): 성장, 에너지, 자아 발달
      • 사람(Person): 자아상, 사회적 관계, 정체성

      [HTP 검사 완전 정리] 집·나무·사람 그림이 말해주는 심리 신호

      그림을 통해 표현되는 이 요소들은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이나 내면의 긴장을 드러낼 수 있어,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,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대상에게 효과적입니다.


      HTP 검사 어떻게 진행되나요?

      🎨 1. 검사 절차

      1. 준비물: A4 용지, 연필 (컬러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)
      2. 그리기 순서:
        • 한 장에 ,
        • 다른 한 장에 나무,
        • 또 다른 한 장에 사람을 그리게 함
      3. 구두 질문 또는 기술 문답:
        • "누가 살고 있나요?"
        • "이 사람은 몇 살인가요?"
        • "왜 이런 나무를 그렸나요?"

      👀 2. 해석 포인트

      ▪ 공간 배치

      • 그림의 위치가 좌측에 치우쳐 있으면 과거 집착, 우측이면 미래 지향적
      • 중심에 위치한 그림은 자아 확립의 가능성

      ▪ 선의 강도 및 크기

      • 진하고 강한 선: 공격성, 자아 강도
      • 흐릿하거나 연약한 선: 불안, 위축
      • 너무 작은 그림: 자존감 저하

      ▪ 세부 묘사

      • 집에 창문 없음: 세상과의 단절
      • 나무에 뿌리가 없음: 불안정한 성장 환경
      • 사람에게 손이 없음: 행동력 부족, 사회적 거리감

      HTP 그림 해석 실제 사례

      ✏️ 사례 1: 중학생 A양의 그림

      • : 창문이 닫혀 있고 연기가 나오는 굴뚝 없음 → 가족 내 소통 단절, 감정 표현 억제
      • 나무: 가지가 뾰족하고 잎이 없음 → 대인관계 긴장, 정서적 메마름
      • 사람: 팔이 없고 얼굴이 무표정 → 낮은 자존감, 소극적 태도

      ✏️ 사례 2: 성인 여성 B씨의 그림

      • : 집 앞에 울타리가 있음 → 타인에 대한 방어 심리
      • 나무: 뿌리가 단단하고 굵은 나무 → 안정된 자아 기반, 자기 통제력 높음
      • 사람: 자세가 똑바르고 선이 강함 → 자기 표현이 뚜렷하고 독립적 성향

      이처럼 같은 검사지라도 사람마다 표현 방식이 다르고, 해석은 개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
      그림 해석 시 주의할 점

      • 단편적인 해석은 금물! 그림 하나만 보고 성격이나 정서를 단정하지 마세요.
      • 문맥적 해석이 중요: 내담자의 말, 그림 그리는 태도, 나이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요.
      • 비전문가의 오해 가능성: 정확한 해석은 미술치료사, 임상심리사 등 전문가의 안내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.

      마무리하며: 내면의 소리를 듣는 도구, HTP

      HTP 검사는 단순한 그림 검사를 넘어, 무의식이 표현된 마음의 지도입니다.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그림으로 끌어내고, 해석을 통해 자기이해와 심리치유로 나아가는 중요한 시작점이 되죠.

      지금 한 장의 그림으로, 내 마음을 만나보는 건 어떨까요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