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목차
상담을 시작하려는 많은 부부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바로 이것입니다.
“정서중심 상담, 정말 효과가 있나요?”
말로는 사랑한다고 하면서, 마음은 멀어진 부부.
같은 이불을 덮고 있지만 정서적 거리는 한참 먼 그런 관계에서,
감정 중심의 상담이 어떻게 실제 변화를 이끌어내는지,
오늘은 박성덕 소장님의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이야기를 나누어보려 합니다.
📌 왜 사례가 중요한가요?
상담 이론은 추상적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사례는 삶의 현장입니다.
- 갈등이 반복되는 커플
- 정서적 외로움에 지친 부부
- 이혼을 고민하는 이들
이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통해, EFT가 가지는 실제적 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👫 사례 1: “당신은 늘 나를 무시해”
결혼 12년 차 부부, 남편은 회사 일로 바빴고, 아내는 육아와 감정 소통 부재에 지쳐 있었습니다.
“당신은 내가 무슨 말을 해도 반응이 없어.”
“내가 말하면 또 시작이라 생각하잖아.”이 부부의 갈등은, 감정을 전달하고 싶지만 거절당할까 두려워 침묵하거나 공격하는 방식으로 반복되었습니다.
상담 초기에는 서로를 비난하는 말이 대부분이었지만, EFT의 2단계에서 남편은 처음으로 감정의 뿌리를 드러냈습니다.“내가 아무 말도 안 하는 건, 내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더 작아져서 그래.”
아내는 그 말에 눈물을 흘렸고, 감정에 접근하는 순간, 관계의 톤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.
💔 사례 2: 외도 이후, 다시 신뢰할 수 있을까?
한 번의 외도, 그 이후 신뢰가 무너진 부부.
“용서는 했지만, 마음은 멀어진 것 같아요.”
“난 계속 죄인처럼 행동해야 하니까, 점점 더 말이 없어졌어요.”정서중심 상담은 ‘외도’를 도덕적으로만 판단하지 않습니다.
애착이 손상된 신호, 감정의 단절, 회복되지 않은 감정적 외로움을 다룹니다.- 아내는 외도보다 그 전의 외로움이 더 아팠다고 말했고,
- 남편은 “그 외로움을 인정하지 못해서 더 큰 상처를 준 것 같다”고 고백했습니다.
이후 이 부부는 함께 ‘상처 치유의 편지’를 쓰는 미술 기반 활동을 통해, 다시 정서적으로 연결되기 시작했습니다.
🧠 EFT에서 보는 변화의 구조
정서중심 상담에서 변화는 다음의 흐름을 통해 발생합니다.
- 패턴 인식
갈등이 반복되는 정서적 고리를 파악합니다. - 감정 표현
방어 대신, 진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 - 재해석과 수용
서로의 감정을 다시 해석하고 받아들입니다. - 새로운 애착 연결
상처받았던 감정의 자리에, 이해와 공감의 연결이 생깁니다.
🎨 미술로 본 변화의 장면
실제 상담 중 활용된 활동 예시:
[과거와 현재의 감정 그리기]
- ‘갈등의 순간’을 하나의 장면으로 표현한 뒤,
- 상담을 거쳐 회복된 지금의 감정을 다시 그림으로 나타냅니다.
한 부부는, 처음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보고 있는 사람을 그렸지만,
상담 후에는 두 인물이 같은 해를 바라보는 그림으로 변화시켰습니다.
이러한 시각화 작업은 정서적 회복을 명확하게 인식하게 해주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.
🧩 “변화는 어떻게 시작되는가?”
- 진짜 감정을 인정하는 순간 시작됩니다.
- 말보다 중요한 것은, 그 말에 담긴 감정의 뿌리를 이해하려는 태도입니다.
- 그리고 그 감정을 서로 나눌 수 있는 안전한 관계가 마련될 때,
관계는 새롭게 태어날 수 있습니다.
마무리하며
정서중심 부부상담은 이론이 아니라 사람의 이야기입니다.
갈등 속에서 외로움에 갇힌 두 사람이, 서로를 다시 마주하고,
진심을 꺼내고, 감정을 교환하며 관계라는 작은 세계를 회복해가는 여정입니다.박성덕 소장의 상담 사례들이 보여주는 건,
사람은 감정을 통해 연결되고, 회복되며, 다시 사랑할 수 있다는 진실입니다.
📌 FAQ
Q1. 외도 이후에도 관계 회복이 가능한가요?
가능합니다. 감정의 깊은 이해와 신뢰 회복이 전제되어야 하며, EFT는 이 과정을 효과적으로 돕습니다.Q2. 상담을 몇 회 정도 받아야 변화가 시작되나요?
보통 8~12회 사이에 큰 감정의 전환이 나타나며, 이후 회복과 유지 단계로 진행됩니다.Q3. 상담 도중 중단하면 더 악화될 수도 있나요?
중단 자체가 문제라기보다, 감정을 정리하지 않은 상태로 멈출 경우 다시 단절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.Q4. 정서적 접근이 어려운 배우자에게 어떻게 시작할 수 있나요?
비난이 아닌 감정 표현, “나는 이렇게 느껴”라는 방식의 대화부터 시작하세요.Q5. 미술치료와 EFT는 전문 상담사만 진행할 수 있나요?
맞습니다. 자격을 갖춘 전문가의 지도 하에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.'미술 심리 치료(Art Therap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동 분리불안, 미술심리로 도와줄 수 있을까? 엄마와 아이를 위한 치료 가이드 (0) 2025.04.03 우울한 마음을 그림으로 말하다 – 색채를 통한 자아치유 미술치료 (0) 2025.04.03 부부 갈등,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? 정서중심 상담의 가족적 접근 (0) 2025.04.02 정서적 외로움에 다가가기: 부부 사이의 애착을 회복하는 법 (0) 2025.04.02 미술로 말하는 감정: 정서중심 부부상담과 미술치료의 만남 (0) 2025.04.02